깐부의 자리에 없는 자 — 최태원과 황의 치킨 회동을 둘러싼 상징

[이 글은 어디까지나 지난 25년 10월 29일에 있었던 엔비디아 황회장의 깐부치킨 체인점에서의 회동을 유머의 소재로 삼은 것임을 사전에 밝힙니다]


1. 치맥의 밤, 깐부의 상징

2025년 10월 29일 저녁, 서울 강남의 한 깐부치킨 매장에 낯익은 얼굴 셋이 마주 앉았다.
엔비디아의 젠슨 황, 삼성전자의 이재용, 현대차그룹의 정의선.
한국 경제의 현재와 미래를 대표하는 이름들이었다.
그러나 그 자리에는 한 명이 없었다. SK그룹의 최태원 회장이다.
그 빈자리가 이 회동을 단순한 ‘치맥 모임’ 이상으로 만들었다.

2. ‘깐부’의 언어

‘깐부’는 단순한 친구가 아니다. 서로의 구슬을 합쳐 함께 놀던, 이익과 손해를 함께나누던 공동 운명체를 뜻한다.
이재용과 정의선, 그리고 젠슨 황이 깐부치킨에 모였다는 사실은 "우리는 같은 팀이다"라는 상징적 선언처럼 읽혔다. AI 반도체, 전장(電裝), 로봇과 모빌리티 — 세 사람의 산업영역은 서로 맞물린 퍼즐이었다.


3. 최태원의 부재는 단순한 우연인가

그렇다면 왜 최태원은 이 자리에 없었을까.
SK는 명실상부한 한국 반도체 2위 그룹이며,AI 인프라, 배터리, 통신까지 그 영향력은 결코 작지 않다.
그럼에도 황의 ‘깐부 명단’에서 그의 이름은 빠져 있었다. 이는 단순히 초청을 받지 못했다는 수준의 문제가 아니다. 산업의 방향, 전략의 중심축이 어디로 옮겨가고 있는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4. 엔비디아가 찾는 깐부의 조건

젠슨 황은 단순한 CEO가 아니다.
AI 시대의 ‘실리콘 제왕’이라 불리며,그의 관심은 누가 가장 빠르게 AI 생태계를 물리적 세계로 확장시킬 수 있는가에 있다.
삼성은 HBM 메모리와 반도체 제조,현대차는 자율주행·전장·로봇으로 AI의 ‘활용’ 영역을 대표한다. 그 둘을 한 테이블에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황은 자신의 기술 제국을 물리적 현실과 연결시킬 ‘한국형 깐부’를 확보한 셈이다.


5. SK의 AI, 그러나 다른 언어

최태원의 SK는 AI를 이야기하지만, 그 중심은 데이터센터·클라우드 인프라에 있다. 이는 AI 칩을 ‘만드는’ 삼성이나, AI를 ‘움직이는’ 현대차와는 결이 다르다. 황이 찾는 깐부는 하드웨어-서비스-응용이 즉각적으로 맞물리는 산업 연합체다. SK는 그중 어딘가에서 멀찍이 서 있었다. AI 반도체도, 자율주행도, 직접적 접점이 상대적으로 약했던 것이다.


6. 전략과 온도의 차이

이재용과 정의선은 황을 만날 때, 기술을 넘어 동맹의 제스처를 보여줬다. 삼성은 엔비디아의 차세대 GPU 생산 논의에 적극적이고, 현대차는 엔비디아 칩 기반의 차세대 자율주행 시스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반면 최태원의 SK는 미국의 반도체 동맹 ‘CHIPS Act’와 중국 시장 사이에서 신중하고 다층적인 스탠스를 유지했다. 황에게 그것은 “깐부”라기보다 “중립적 파트너”로 보였을 것이다.


7. 깐부의 미학, 기술보다 인간

깐부치킨의 이름은 의도치 않게 우정과 신뢰의 테스트베드가 되었다.
황, 이, 정의 세 사람은 치킨 한 조각을 나누며
서로의 산업을 넘어선 공감대를 공유했다.
그것은 단순한 협력의 언어가 아닌 감정의 연합이었다. 깐부란 결국 “함께 손에 기름이 묻는 사이”를 뜻하기 때문이다. 최태원은 그 이너써클의 리듬에 아직 들어오지 못했다.


8. 경제 동맹의 정치학

한국 산업계의 ‘빅3’ 회장이 한 테이블에 앉는 장면은
국가 경제의 권력지형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깐부치킨의 식탁은 곧 한국형 산업연합의 상징무대였다. 그 자리에 없는 자는, 설령 힘이 있어도 그 연합의 ‘감정선’ 바깥에 있다. 최태원의 부재는 곧 SK의 고립이라기보다, 새로운 기술동맹의 중심축이 어디로 이동했는가를 말해주는 신호라 볼 수 있다.


9. 깐부가 되기 위한 조건

깐부가 되려면 기술만으로는 부족하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공통된 꿈’이다. 삼성과 현대차, 그리고 엔비디아는 모두 ‘AI로 움직이는 세상’을 그리고 있었다. SK는 아직 AI의 경제 논리 속에서 ‘플랫폼의 공급자’로 남아 있다. 그 한 걸음의 간극이 깐부치킨의 식탁 위에서 극명히 드러났다.


10. 결론 — 깐부의 자격

최태원은 여전히 한국 산업의 거물이다. 그러나 깐부란 권력의 크기가 아니라 공유된 방향성의 온도로 결정된다. 황회장의 깐부치킨 회동은 한국 산업 리더십의 세대교체, 그리고 기술동맹의 감정적 구심점을 동시에 보여준 사건이었다.
깐부의 자리엔 웃음이 있었지만, 그 웃음이 비추지 못한 자리엔 고요한 질문 하나가 남았다.

> “당신은 누구의 깐부인가?”



*물론 2025 경주 apec으로 바쁘실 분이실 거라는 예상은 가능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인텔체험단] 인텔245K + ASUS Z890 AYW GAMING WIFI W (1주차)

[인텔체험단] 인텔245K + ASUS Z890 AYW GAMING WIFI W (3주차)

[인텔체험단] 인텔245K + ASUS Z890 AYW GAMING WIFI W (2주차)